title

2015년 3월 30일 월요일

2015년 3월 20일 금요일

과민성대장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 반후수즉대변 飯後隨卽大便 (반후수즉대변) ○ 飯後隨卽大便者盖脾腎交濟所以有水穀之分脾氣雖强而腎氣不足故飮食下咽而大府爲之"153;泄也.治法取二神丸空心鹽湯送下使脾腎之氣交通則水穀自然剋化此所謂妙合而凝者也.<直指>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 비(脾)와 신(腎)이 서로 잘 조화되어야[交濟] 수분과 찌꺼기[水穀]가 잘 갈라진다. 음식을 먹은 뒤에 곧 대변을 누는 것은 비기(脾氣)는 비록 강하나 신기(腎氣)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음식이 목에 넘어가면 삭지 않고 그대로 곧 설사[손泄]하게 된다. 치료하는 방법[治法]은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이신환(二神丸)을 먹어서 비와 신의 기운이 서로 조화되게[交通]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음식물[水穀]이 저절로 소화된다. 이것이 이른바 묘(妙)하게 합치되게 하는 것이다[직지].

2014년 10월 17일 금요일


Trigger Point Finder brought to you by Life After Pain - Trigger Point Treatment

2014년 9월 2일 화요일

한의학 등 활용한 고유의 패키지상품 개발 필요

최근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의료기관간 경쟁이 점차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향후 우리나라 의료기관이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의료관광 관련 사업간 유기적 통합 및 패키지화 △환자중심 서비스 제공 △첨단 기술과의 접목 등을 통한 서비스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지난달 28일 ‘글로벌 의료쇼핑 시대, 서비스 경쟁력이 돌파구!’라는 제하의 보고서를 통해 “의료서비스 산업의 패러다임이 국내의료→지역간 이동→글로벌 헬스케어로 변화하면서, 전 세계 의료서비스 시장의 규모는 6.7조달러(2012년 기준)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연평균 7.9%의 빠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며 “또한 진료 외에도 현지관광 등 부수적인 파급효과를 고려할 경우 관련 시장 규모는 이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의료서비스 산업이 국경과 시간의 제약을 넘어 글로벌산업으로 성장하면서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 차원의 전략적 육성정책 등으로 의료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해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의 주요 신흥국들은 글로벌 헬스케어, 특히 의료관광 분야에서 커다란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 국가들은 가격경쟁력을 갖춘 선진국 수준의 의료기술과 풍부한 관광자원을 기반으로 의료관광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대표적 병원그룹인 IHH는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2위의 병원그룹으로 성장했으며, 말레이시아/싱가포르/터키/중국/인도 등 9개 국가에서 33개의 병원을 운영하고 있고 향후 동유럽과 중동 등으로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반면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산업 종합경쟁력은 OECD 34개 국가 중 19위에 불과하고,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이 조사/발표하는 국가경쟁력의 의료인프라 부문에서 아시아 주요 경쟁국인 싱가포르(5위), 대만(6위), 일본(13위), 말레이시아(15위)보다 낮은 20위에 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에서는 향후 우리나라의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진입 확대를 위해서는 서비스의 다양화/고품질화를 통한 서비스 경쟁력 제고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해외환자 유치부터 치료, 웰니스, 관광, 사후관리까지 의료관광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수직적으로 통합해 유기적으로 연계가 이뤄지도록 하고, 의료/웰니스/관광을 결합한 고유의 의료관광 패키지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의료기관의 자체 경쟁력과 브랜드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보고서에는 우리나라 의료관광객은 중국, 일본, 몽골 등 동아시아 국가의 비중이 크고, 한국관광공사가 국적별 관광객의 선호를 조사한 결과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한의진료에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난 만큼 우수한 한/양의학 의료기술에 약선음식, 템플스테이 등을 연계해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의료관광 패키지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병원인 미국 클리블랜드병원과 메이요병원이 각각 환자경험센터와 혁신센터를 설립해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연구하는 등 의료서비스 패턴이 공급자인 병원 중심에서 수요자인 환자 중심으로 전환되는 만큼 우리나라 의료기관도 전담조직을 구성해 환자 중심의 서비스를 연구하는 한편 외국인환자에 대한 편의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앞으로 글로벌 헬스케어의 수요층이 고소득자에서 중/고소득자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의료서비스 비용 절감이 의료기관 경쟁력의 중요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최신 IT 기기 및 기술의 접목과 원격진료 등을 활용해 의료서비스의 비용을 낮추고 품질을 높이려는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강환웅 기자   [khw@akomnews.com]

20~30대, 스트레스와 과로로 인한 안면마비 증가

효과적인 한의약으로 적극적인 치료 필요



‘추운 곳에서 자면 입이 돌아간다’는 말이 있듯이 ‘구안와사’하면 주로 차가운 기운이 안면 신경 주변의 혈액순환에 영향을 미쳐 한쪽 안면근이 틀어지는 한성(寒性) 안면마비를 떠올린다.

그런데 최근에는 스트레스와 과로로 인해 발생하는 열성(熱性) 안면마비 발생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사회에 만연해 있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과로로 인해 신경이 손상돼 안면마비 증상을 겪고 있는 젊은 층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간절기에는 신체가 급변하는 기온차에 적응하지 못해 체내 자율신경계 교란이 일어나 안면신경마비에 걸릴 확률이 높아져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안면마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뇌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추성 안면신경마비와 ‘구안와사’로 불리며 귀 주변 안면신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다.

말초성 안면마비는 발생 원인과 과정에 따라 또다시 열성(熱性) 안면마비와 한성(寒性) 안면마비로 나눠볼 수 있다. 

피로한 상태에서 찬바람이나 차가운 면에 얼굴이 접촉되어 안면신경이 서서히 마비되어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한성(寒性) 안면마비는 발병 초기 2주에 걸쳐 서서히 완전한 마비를 이루게 되는데 아이스크림을 많이 먹을 때 머리가 띵하듯 귀 뒤가 얼얼하게 아프고 콧물이 나거나 기침을 하며 몸이 추운 감기와 유사한 초기증상을 보인다.

한열이 극심해져 손상된 신경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상온도로 회복시키기 위해 반대방향으로 한열을 조절하는 치료가 기본 바탕을 이루며 동시에 신경재생과 근육회복을 위한 치료가 필요하다. 

한의의료기관에서는 몸을 데우며 혈액순환을 돕고 환부를 따뜻하게 해주는 한약재와 열성을 띤 봉독약침 등으로 치료한다.

반면 열성(熱性) 안면마비는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과로가 우리 몸의 열과 압력을 높여 면역력과 체온조절능력을 저하시키고 이 열과 압력으로 인해 안면신경의 수초가 타버리듯 손상되면서 완전히 마비되는데 3~5일 밖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열성(熱性) 안면마비의 초기증상은 귀 주변이 가렵거나 따끔거리고 심한 경우 수포가 생기기도 한다.

몸속의 높은 열이 환부의 안면신경 손상회복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한의의료기관에서는 가슴과 얼굴에 몰린 열과 압력을 내려주는 한약재와 환부를 시원하게 식혀주면서 신경을 재생시켜주는 청열약침 등으로 치료한다.

안면마비는 발병 후 6개월이내에 치료를 종료해야 후유증이 남지 않는데, 한성 안면마비에 비해 열성 안면마비는 손상의 정도가 강해 회복에도 평균 3개월 전후의 오랜 기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압력을 높이느냐 내리느냐, 온도를 올려주느냐 내려주느냐의 방향이 정확해야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치료시기를 놓쳐서 안면마비가 영구적으로 남게 되는 후유증을 막을 수 있다. 

힐링한의원 서향연 원장은 “만약 한성 안면마비를 치료하는 방식으로 열성 안면마비를 치료할 경우 초기에 약간 반응을 보이다가 정체된 상태로 시간을 허비하게 되고 대부분 안면마비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며 “안면마비를 말초성인지 중추성인지만 구분할 것이 아니라, 병의 유형이 열성 안면마비인지, 한성 안면마비인지를 구분해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서 원장은 “안면마비는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효과적”이라며 “피로와 스트레스가 주원인으로 발생하는 열성 안면마비는 열이 오른 가슴과 얼굴을 식혀주고 신경을 재생시키는 황금, 황련, 형개, 박하 등의 청열소통 한약재와 청열약침 그리고 시원한 거즈재생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단아안한의원 이상진 원장도 “구안와사는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한 질환”이라며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않으면 후유증으로 장기간 고생할 수 있으니 의심증상이 보이면 즉각 내원해 치료를 받는 것이 빠른 회복과 후유증으로 고생하지 않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말초성 안면마비 입원환자 25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안면마비 후유증에 대한 매선치료의 효과’(대한침구학회지), ‘말초성 안면마비 후유증 환자에 대한 매선치료의 만족도 조사’(한방척추관절학회지) 등의 논문에서 말초성 안면마비와 그 후유증에 대한 한의 치료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다.김대영 기자   [kdy2659@hanmail.net]

2014년 7월 30일 수요일

원인 따른 맞춤형 한의치료, 생리통에 큰 효과

많은 여학생들이 공부에 대한 부담과 함께 한달에 한번씩 복병처럼 찾아오는 생리통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가운데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3 여학생 3명 중 1명이 정도가 심한 생리통을 경험하고 있고, 4명 중 1명은 생리통으로 학교수업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반수 이상의 여학생이 생리통으로 고통을 겪으면서도 그냥 참거나(66.2%) 혹은 진통제에만 의존(26.9%)하고 있었다.

한의학에서는 외부의 찬 기운 노출이나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과다, 자궁 기혈순환의 문제 등의 원인으로 호르몬의 분비 및 자율신경기능에 이상이 생겨 생리통을 유발하고 있다고 보고, 각 원인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치료를 하고 있다. 

우선 외부의 찬 기운이 노출돼 수족냉증이나 복부냉증 등 몸이 차가워서 생기는 여학생의 생리통의 경우에는 냉증을 조기에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춰 한의치료를 시행하며, 냉증은 성인이 되면서 더욱 심해지거나 만성화되는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10대부터 미리 관리를 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학업으로 인한 체력 소모가 많고 스트레스가 심해 발생하는 경우에는 체력 보강과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한약 치료 등을 진행하는 한편 성적 관리가 중요한 시기인 만큼 필요한 경우 학습력을 키워주기 위한 치료도 같이 시행한다.

이와 함께 자궁 기혈순환의 문제가 있다면 한약 치료와 함께 자궁의 어혈을 제거하면서 침과 뜸을 병행하여 기혈 순환을 돕는 것은 물론 필요시 침의 효과와 한약의 효과를 동시에 적용하는 약침을 시술한다. 실제 대한침구학회지에 게재된 ‘자하거 약침의 월경통에 대한 효과’란 논문에서도 기혈을 보하는 효과가 큰 자하거 약침의 경우 치료 후 생리통이 감소하고 복부 온도가 고르게 분포한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박경선 교수(강동경희대한방병원 한방여성건강클리닉)는 “이번 여름방학에 여학생에게 꼭 맞는 한의약적 생리통 치료방법으로 생리통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며 “특히 청소년기의 생리통 치료는 통증을 없애는 것과 더불어 자궁발육을 원활하게 하는 치료도 병행해야만 성인이 되었을 때 건강한 자궁을 가질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박 교수는 한의약적 치료와 함께 생리통을 예방하는 한의복부마사지인 ‘안복행법(按腹行法)’과 지압법으로도 생리통을 완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는 “생리시기가 다가올 때 한의약적 원리가 적용된 복부마사지 방법인 안복행법은 생리통을 완화하고 장운동을 활성화하여 변비를 완화할 뿐만 아니라 복부탄력을 높이는 효과가 얻을 수 있다”며 “이와 함께 생리통, 냉대하 등 월경문제 및 여성질환과 관련해 널리 사용되는 혈자리인 ‘삼음교’혈에 지압을 하면 생리통 완화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2014/07/31 11:53

2014년 5월 22일 목요일

七情 다스리는 韓醫치료, 국민에게 더 알려졌다면...



‘어디가 아프세요?’라고 묻자 ‘다 아파!’라며 버럭 화를 내는 중년 여성.

당혹해 하는 한의사에게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있다며 동행한 가족들이 대신해 말을 전한다.

통증 치료를 하면서 긴장을 풀어주고 마음을 진정시켜주는 침을 놓자 이내 잠이 든 환자.

세월호 사고로 단원고등학교 교사였던 남편은 실종된 상태다.

생존자들의 전언에 따르면 침몰하는 세월호에서 학생들을 끌어 올려 구하려다 바다에 떨어져 거센 조류에 휩쓸렸다고 한다.

진도에 도착한 이후 하루도 빠지지 않고 팽목항에서 하염없이 바다만 바라보고 있다는 것.

잠시 후 깨어난 이 환자는 진료 한의사를 붙잡고 하소연 할 곳이 한 곳도 없다며 그동안 쌓여있던 가슴 속 응어리를 쏟아냈다.

세월호 침몰 사고 직후 단원고 교직원들에게도 원망과 비난의 화살이 날아들었다.

남편을 잃은 슬픔만으로도 견뎌내기 힘든데 죄인이 된 것 같아 마음 놓고 드러내 슬퍼하지도 못했다고 한다.

이 실종자 가족은 고맙다는 말을 남기고 다시 팽목항으로 발을 옮겼다.

진도체육관에 설치된 한의진료소는 24시간 3교대로 운영된다.

진료봉사에 참여하고 있는 한의사들은 한의 치료로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데도 적극적인 진료를 할 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가슴이 답답하다며 한의진료소 옆에 있는 약사에게 약을 달라고 하는 유가족들을 볼 때면 더욱 그렇다.

七情의 균형이 무너진 실종자 및 유가족들에게 한의치료는 매우 효과적이다.

만약 이러한 부분이 국민들에게 좀 더 잘 알려져 있었다면 한의진료소에서 더 나은 관리를 받을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안타까운 마음에서다.

한의진료소에서 진료를 하고 있는 한의사는 “한의약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잘 관리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은데 지켜볼 수 밖에 없는 입장이다 보니 아쉬움이 많죠. 국민들에게 한의 치료의 범주와 장점을 더 적극적으로 알려야 할 것 같아요. 더 나은 치료수단에 대해 국민들에게 충분히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국민보건 향상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2014/05/22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