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2016년 2월 21일 일요일

한의사 역량 교육

[기획]한의사 교육 바꿀 ‘역량 모델’ 탄생, 의미는?

복지부 근거중심추진위·한평원 교육부 인정 기반 다져

본란에서는 한의학 교육의 질을 제고할 ‘제2주기 평가인증기준’의 바탕이 된 ‘역량 모델’이 한의계 최초로 탄생함에 따라 그간의 배경과 의미를 짚어본다.

[한의신문=윤영혜 기자]한의계가 중지를 모아 한 목소리로 내놓은 한의학 역량모델은 향후 국시 개선은 물론, 복지부와 교육부 등 정책 입안의 근거가 될 전망이다. 특히 수년간 외부에서 거세진 한의학 표준화 및 과학화 요구, 현대 의료기기 허용 갈등, 한평원의 교육부 인증기관 인정 기간 임박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달성한 성과인 만큼 그 의미는 더욱 크다는 평가다.

2014년 교육협의체라는 합의 구조에서 시작해 새롭게 탄생한 한의 교육계의 성과는 당장 보건복지부의 정책 반영으로 이어지고 있다. 2015년 8월 발족한 복지부의 ‘근거중심 한의약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대표적이다.

전체성과
(지난 2014년 6월 열린 한의학교육협의체 결성식에서 한의계 단체장들이 손을 모아 화합의 의지를 다지고 있다)

한의약의 표준화·과학화 기반 조성을 위해 범한의계가 참여한 추진위에는 고득영 복지부 한의약정책관, 김남일 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장, 손인철 한의학교육평가원장, 김갑성 한의학회장, 김필건 한의사협회장, 신준식 한방병원협회장, 이혜정 한의학연구원장, 박히준 경희대 한의대 교수, 김종욱 우석대 한의대 교수, 신병철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사실상 한의학교육협의체 구성원들과 일치해 협의체가 추진위의 기반이 됐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한의학 교육 협의체에서 2년 동안 단체장들이 정책 공조에서 한목소리를 낸 덕에 복지부와 거버넌스를 형성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난 30일 열린 교육 심포지엄에서 강연석 한평원 기획이사는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 하더라도 사회에서 수용되지 않으면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며 “동시에 한의계 내부에서 서로 다른 정책을 가지고 가면 국가에서는 추진할 수가 없기 때문에 합의절차가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근거중심 한의약 추진위원회가 탄탄하게 합의한 덕에 한의약육성종합계획안도 내실있게 준비됐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임상진료지침 사업도 잘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의계의 여러 숙원사업들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토대라는 것은 한의계 전체가 한 목소리를 내야하는 것인데 그 기초가 이제야 마련됐다는 얘기다.

복지부 역시 한의계의 교육체계 개선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내놨다. 강민규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과장은 교육 심포지엄에서 “한의계에서 지금과 같은 컨센서스를 가지고 온다면 국시의 교과 문제는 한의약정책과가 의료자원정책과와 협의해 추진할 수 있다”며 “복지부에서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혀 한의계의 컨센서스가 향후 복지부 정책 과정에 반영될 것임을 시사했다.

‘국시 개선’ 이후 한평원 교육부 평가인증, 목전

6년 만에 탄생한 한의학 교육 평가 인증 기준 개선 덕에 향후 교육부 장관이 인정하는 평가인증도 수월해질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고등교육법 개정안에 따르면 의학계열의 경우, 교육부 장관이 인정한 평가인증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현재 전국한의과대학에 평가인증의 중요성을 확인시키는 공문이 전달됐지만 8개 대학만 평가인증을 받았고, 우석대는 아직 움직임이 없는 상태다. 지난 1월 동국대, 상지대, 가천대는 평가인증 신청서를 보내왔다.

손인철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장은 “지난 2년간 한평원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교육부의 한의학교육프로그램 인증평가 인정기관으로 탄생하는 것”이라며 “길게 준비하게 된 것은 한평원의 토대가 매우 미약했기 때문이며, 교육협의체를 통해 한평원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게 된만큼 상반기 내에 인정기관이 될 것을 확신한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